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header banner1 header banner2
  • 커뮤니티 문답방 · 전문가문답방
    사이트 내 전체검색
더보기 >
전문가 문답방

이젠 K-등산

이젠 K-등산   서울은 정말 아름답고 대단한 도시다. 특히 자연환경이 그렇다. 세계 어느 나라 대도시와 비교해도 서울만큼 다이나믹한 자연환경을 가진 도시는 없다. 외국 대도시를 흐르는 강, 예를 들면 런던의 템즈강, 파리의 세느강, 베를린의 라인강을 봐도 폭이 수 십에서 200미터 정도다. 서울 사람 입장에선 ‘강’이라기 보다 ‘천’에 가깝다. 서울의 탄천이나 중랑천 정도 규모다. 이에 비해 한강은 폭이 1.2킬로미터다. ‘강’이라면 이 정도는 되어야지 생각이 든다.   강만 있는 게 아니다. 곳곳이 산이다. 서울 북쪽엔 북한산, 남쪽엔 관악산이 대표적이다. (물론 청계산이나 도봉산 그리고 남산 등 곳곳에 산이 있다) 그런데도 등산을 위해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면 입구까지 간다. 그리고 몇 시간이면 정상까지 다녀온다. 게다가 등산로가 잘 만들어져 있고, 야생 동물들의 습격을 받을 걱정도 없다. 그래서 누구나 등산을 편하게 즐긴다.   그런데 요즘은 외국인 등산객들이 많아졌다.예전엔 관광객들이 주로 쇼핑센터나 관광지를 주로 방문했다면, 요즘은 한강을 찾거나 등산을 한다. 모두 편리하고 감동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상에서 내려다 보이는 서울의 풍경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그런데 등산하고 나서 지하철 타고 시내로 나와 식사하고 쇼핑까지 하루에 다 한다. 심지어 산 입구에선 등산에 필요한 장비까지 빌려 준다. 일부 관광객들은 한국인들처럼 하산 후 막걸리로 목을 축이는 것도 따라 한다.   그런데 서울에서 등산하는 외국인들 중엔 일본인들이 많다고 한다.그 이유는 일본에선 대도시에서 대중교통으로 갈 만큰 가까운 산이 드믄데다, 등산이 위험한 스포츠라는 인식이 있다고 한다. 일본 산 속엔 곰들이 많기 때문이란다.   이렇게 서울에서 등산을 하던 외국인 중 일부는 설악산 같은 지방에서 등산을 하기도 한다.그리고 외국인들은 등산 후 산 정상에서 인증샷을 찍어 SNS에 올리는 게 유행이라고 한다.   어쨌든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등산하며 추억으로 남기는 걸 좋아한다니 반가운 일이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사라진 육교

사라진 육교   얼마 전 한남동을 지나다 보니 육교가 보였다. (사진)오랜만에 보는, 서울에 몇 안 남은 육교다.   예전엔 서울에 육교가 많았다. 당시엔 차가 귀하다 보니, 차가 사람보다 우선시 되는 분위기였다. 그래서 차가 원활하게 통행하기 위해, 굳이 육교를 만들어 사람이 차를 피해 길을 건넜다. 소위 큰길(큰길이라 해봤자 왕복 4~6차로 정도다)에 나가면 육교가 한 두 개씩은 있었다.   그런데 육교로 건너는 건 참 번거로운 일이었다.필자가 어렸을 땐 활기가 넘쳤으므로 아무렇지 않게 육교를 이용했다. 하지만 연세가 드신 분들 입장에선 너무나 힘든 일이었다. 특히 무릎 관절이 좋지 않은 분들에겐 고통이었다. 난간을 붙잡고 부들부들 떨면서 오르내려야 했다. 게다가 겨울에 눈이 오거나 빙판이 생기면 정말 위험했다. 젊은 필자도 난간을 잡고 조심스럽게 오르내려야 했다. 미끄러지는 날엔 정말 큰 부상을 입기 때문이다.한여름에도 육교는 반갑지 않았다. 뙤약볕 아래 그늘도 없는데다, 콘크리트 열이 올라와 정말 뜨거웠다.육교에 사람들이 많이 몰리면 그 자체로 위험했다. 자칫 한 사람이라도 넘어지거나 쓰러지면, 대형 압사 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좀 다니는 육교엔 꼭 잡상인이나 거지들이 있었다.한편 육교엔 높이 제한이 있어서 화물차들이 다닐 수 없는 경우도 생겼다. 육교가 있다면 지금처럼 이층버스는 아예 다닐 수 없었다.이래저래 육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언젠가부터 인권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서 더불어 보행자의 권리 즉 보행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또한 차가 늘어나다 보니 ‘사람이 우선이지, 차가 우선이냐’ 하는 생각이 퍼졌다.   보행에 불편을 주고 도시 미관을 해치는 육교가 하나둘 철거되기 시작했다.지금 서울에선 육교를 거의 볼 수 없다.   지나면서 없어지고 나면 추억인 경우가 많은데, 육교에 대한 추억은 없다. 없어지길 잘했다는 생각만 든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과잉진료?

과잉진료?   휴일인 어제 낮잠을 잘 자고 일어났는데, 갑자기 오른쪽 허리가 좋지 않았다. 그래도 큰 무리는 없어서 석촌호수도 한 바퀴 돌아오는 등, 할 일은 다 했다. 그런데 밤부터 점점 좋지 않더니, 오늘 아침 깼는데 허리가 더 나빠졌다. 허리를 숙이기 힘들었다.   병원을 갈까 아니면 근육이완제와 소염진통제를 사 먹으며 며칠 버텨볼까 고민했다. 하지만 병원에 가기로 결심했다. 왜냐하면 내일이나 모레 시간이 지나면서 상태가 점점 더 나빠져서, 꼼짝달싹 못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혼자 사는 입장에선 여간 괴롭지 않다.   그런데 병원을 찾을 때 가장 염려가 되는 부분은 바로 과잉진료다. 필자가 의사는 아니지만, 이런 증상은 근육에 문제가 있는 게 확실하다. 앉거나 서 있거나 눕거나 엎드릴 땐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병원을 찾으니 우려한대로(?) 이것저것 하란다. 우선 엑스레이를 열 장 정도 찍었다. 그리고 허리에 주사를 여러 대 맞았다. 필수 코스인 물리치료도 받았다. 물론 약을 처방받기도 했다. 그래서 나온 진료비가 75,200원. (사진)   필자가 과잉진료가 아닌가 생각하는 이유가 있다.7~8 년 전 등살이 너무 배겨서 정형외과를 찾은 적이 있었다. 이번에 허리 아픈 건 비교도 안 될 만큼 고통스러웠다. 정말 숨도 쉬기 힘들었다. 좀 오래된 병원이었는데, 간단하게 약 처방 받고 물리치료 받고 끝났다. 당시 병원 진료비가 만원 정도로 기억된다.   하지만 이번에 간 병원은 대형 신축 빌딩에 넓찍하고 직원도 많았다. 그래서 객단가를 올려야 하므로, 뽕을 빼려(?) 한 게 아닌가 의구심이 일었다.   의사 입장에서도 할 말이 있을 것 같다.‘확실하고 완벽한 치료를 위해!’   하지만 이런 허리 증상은 너무나 뻔한 것이고 이전의 등살 상황과 비교가 되니, 치료를 받고 나서도 왠지 씁쓸하다.   신축 건물에 깨끗하고 넓찍하고 좋은 장비가 있다고 꼭 좋은 병원은 아닌 것 같다.증상에 맞게 병원을 선택하는 것도 생활의 지혜가 아닌가 싶다. (하지만 오래된 병원이라고 과잉진료 하지 말란 법은 없다 ㅠㅠ)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포레스텔라에 푹 빠지다!

포레스텔라에 푹 빠지다!   음악을 잘 듣지 않는 필자가 요즘 남성 크로스오버 4인조 보컬 '포레스텔라'에 푹 빠졌다.우선 노래를 너무 잘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노래를 들으면 원곡과 또 다른 혹은 원곡보다 훨씬 더 큰 감동을 받게 된다.   포레스텔라는 2017년 JTBC가 주최 방송한 남성 4중창 크로스오버 그룹 결성 프로그램 ‘팬텀싱어 시즌 2’의 결승전에서 같은 팀으로 묶여 우승하면서 데뷔하게 되었다.그후 KBS '불후의 명곡'에 고정(?)출연하고 왕중왕전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면서 명성을 쌓게 된다.그러거나 말거나 필자는 이들에 대해 별 관심이 없었다. 그냥 성악을 전공한 실력 있는 크로스오버 그룹이라고만 알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무심코 이들이 출연한 유튜브를 보고는 한방에 그만 포레스텔라에 푹 빠져버렸다.   필자가 어렸을 땐 중창이나 듀엣이 꽤 많았다.남성 4중창단으로 유명한 건 '블루 벨즈'와 '봉봉 브라더스'가 있었다. 블루벨즈는 정통사중창단을 표방하고 점잖게 노래했다. 반면 '봉봉 브라더스'는 좀 가볍고 가끔은 코믹한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하지만 요즘은 아이돌 그룹은 많지만, 중창이나 듀엣은 별로 없다.   포레스텔라가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건 아주 다양하고 많은 곡을 정말 잘 소화하기 때문이다.과거의 4중창단은 자기들만의 노래를 불렀지만, 포레스텔라는 국내 곡은 물론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등 많은 다양한 노래를 거의 완벽하게 발음하며 부른다.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사람들도 놀랄 정도다.게다가 편곡도 대단하고, 구성원들의 개성을 심분 활용하며 완벽한 화음을 이끌어낸다. 이들은 원곡보다도 더 뛰어난 노래로 탈바꿈시킨다.이들이 얼마나 열심히 연습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포레스텔라의 멤버는 테너 배두훈, 소프라노/테너 강형호, 테너 조민규, 베이스 고우림으로, 강형호만 성악을 전공하지 않고 연구원으로 재직하다 음악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출연하게 되었다고 한다.그런데 이들 중 여성의 소프라노 음역대까지 커버하여 놀라움을 주는 카운터테너 강형호와 묵직한 베이스로 팀을 받쳐주는 고우림에게 특히 눈길이 더 간다.(고우림은 김연아의 남편이다)   필자 연배들이면 다 좋아할 만한 노래들도 꽤 있다.<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나 가거든> 등 국내 곡은 물론 <Nella Fantasia> <We Are The Champions> <Thriller> <Bohemian Rhapsody> <Hijo de la Luna (달의 아들)> <Scarborough Fair> <The Sound of Silence> 등 유명 해외곡이 아주 많이 있다.   틈날 때 유튜브에서 이들의 노래를 한번 감상해 보면, 필자처럼 푹 빠지지 않을까 싶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자유문답방
커뮤니티 문답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