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header banner1 header banner2
  • 커뮤니티 문답방 · 전문가문답방
    사이트 내 전체검색
더보기 >
전문가 문답방

과잉진료?

과잉진료?   휴일인 어제 낮잠을 잘 자고 일어났는데, 갑자기 오른쪽 허리가 좋지 않았다. 그래도 큰 무리는 없어서 석촌호수도 한 바퀴 돌아오는 등, 할 일은 다 했다. 그런데 밤부터 점점 좋지 않더니, 오늘 아침 깼는데 허리가 더 나빠졌다. 허리를 숙이기 힘들었다.   병원을 갈까 아니면 근육이완제와 소염진통제를 사 먹으며 며칠 버텨볼까 고민했다. 하지만 병원에 가기로 결심했다. 왜냐하면 내일이나 모레 시간이 지나면서 상태가 점점 더 나빠져서, 꼼짝달싹 못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혼자 사는 입장에선 여간 괴롭지 않다.   그런데 병원을 찾을 때 가장 염려가 되는 부분은 바로 과잉진료다. 필자가 의사는 아니지만, 이런 증상은 근육에 문제가 있는 게 확실하다. 앉거나 서 있거나 눕거나 엎드릴 땐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병원을 찾으니 우려한대로(?) 이것저것 하란다. 우선 엑스레이를 열 장 정도 찍었다. 그리고 허리에 주사를 여러 대 맞았다. 필수 코스인 물리치료도 받았다. 물론 약을 처방받기도 했다. 그래서 나온 진료비가 75,200원. (사진)   필자가 과잉진료가 아닌가 생각하는 이유가 있다.7~8 년 전 등살이 너무 배겨서 정형외과를 찾은 적이 있었다. 이번에 허리 아픈 건 비교도 안 될 만큼 고통스러웠다. 정말 숨도 쉬기 힘들었다. 좀 오래된 병원이었는데, 간단하게 약 처방 받고 물리치료 받고 끝났다. 당시 병원 진료비가 만원 정도로 기억된다.   하지만 이번에 간 병원은 대형 신축 빌딩에 넓찍하고 직원도 많았다. 그래서 객단가를 올려야 하므로, 뽕을 빼려(?) 한 게 아닌가 의구심이 일었다.   의사 입장에서도 할 말이 있을 것 같다.‘확실하고 완벽한 치료를 위해!’   하지만 이런 허리 증상은 너무나 뻔한 것이고 이전의 등살 상황과 비교가 되니, 치료를 받고 나서도 왠지 씁쓸하다.   신축 건물에 깨끗하고 넓찍하고 좋은 장비가 있다고 꼭 좋은 병원은 아닌 것 같다.증상에 맞게 병원을 선택하는 것도 생활의 지혜가 아닌가 싶다. (하지만 오래된 병원이라고 과잉진료 하지 말란 법은 없다 ㅠㅠ)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포레스텔라에 푹 빠지다!

포레스텔라에 푹 빠지다!   음악을 잘 듣지 않는 필자가 요즘 남성 크로스오버 4인조 보컬 '포레스텔라'에 푹 빠졌다.우선 노래를 너무 잘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노래를 들으면 원곡과 또 다른 혹은 원곡보다 훨씬 더 큰 감동을 받게 된다.   포레스텔라는 2017년 JTBC가 주최 방송한 남성 4중창 크로스오버 그룹 결성 프로그램 ‘팬텀싱어 시즌 2’의 결승전에서 같은 팀으로 묶여 우승하면서 데뷔하게 되었다.그후 KBS '불후의 명곡'에 고정(?)출연하고 왕중왕전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면서 명성을 쌓게 된다.그러거나 말거나 필자는 이들에 대해 별 관심이 없었다. 그냥 성악을 전공한 실력 있는 크로스오버 그룹이라고만 알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무심코 이들이 출연한 유튜브를 보고는 한방에 그만 포레스텔라에 푹 빠져버렸다.   필자가 어렸을 땐 중창이나 듀엣이 꽤 많았다.남성 4중창단으로 유명한 건 '블루 벨즈'와 '봉봉 브라더스'가 있었다. 블루벨즈는 정통사중창단을 표방하고 점잖게 노래했다. 반면 '봉봉 브라더스'는 좀 가볍고 가끔은 코믹한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하지만 요즘은 아이돌 그룹은 많지만, 중창이나 듀엣은 별로 없다.   포레스텔라가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건 아주 다양하고 많은 곡을 정말 잘 소화하기 때문이다.과거의 4중창단은 자기들만의 노래를 불렀지만, 포레스텔라는 국내 곡은 물론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등 많은 다양한 노래를 거의 완벽하게 발음하며 부른다.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사람들도 놀랄 정도다.게다가 편곡도 대단하고, 구성원들의 개성을 심분 활용하며 완벽한 화음을 이끌어낸다. 이들은 원곡보다도 더 뛰어난 노래로 탈바꿈시킨다.이들이 얼마나 열심히 연습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포레스텔라의 멤버는 테너 배두훈, 소프라노/테너 강형호, 테너 조민규, 베이스 고우림으로, 강형호만 성악을 전공하지 않고 연구원으로 재직하다 음악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출연하게 되었다고 한다.그런데 이들 중 여성의 소프라노 음역대까지 커버하여 놀라움을 주는 카운터테너 강형호와 묵직한 베이스로 팀을 받쳐주는 고우림에게 특히 눈길이 더 간다.(고우림은 김연아의 남편이다)   필자 연배들이면 다 좋아할 만한 노래들도 꽤 있다.<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나 가거든> 등 국내 곡은 물론 <Nella Fantasia> <We Are The Champions> <Thriller> <Bohemian Rhapsody> <Hijo de la Luna (달의 아들)> <Scarborough Fair> <The Sound of Silence> 등 유명 해외곡이 아주 많이 있다.   틈날 때 유튜브에서 이들의 노래를 한번 감상해 보면, 필자처럼 푹 빠지지 않을까 싶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파리채는 가고 모기채가...

파리채는 가고 모기채가...   필자가 어렸을 땐 어디에나 파리가 그렇게 많았다. 깨끗하지 못한 환경이 원인이었다. 특히 여름이 되면 푸세식 화장실엔 구더기가 들끓었다. 길엔 개똥이 많았는데, 파리에겐 뷔페나 다름 없었다. 그래서 가정마다 상점마다 파리채가 필수였다. 시장에 가면 끈끈이 테이프를 천장에 매단 가게가 많았는데, 파리가 새카맣게 붙어있기도 했다. (가끔은 식당에도 있었으니, 밥맛이 ㅠㅠ)   요즘은 파리가 많지 않고 창문마다 방충망도 있어서, 집안에 파리가 들어오지 않고 파리채도 없다. 어쩌다 집에 파리 한 마리만 들어와도, ‘파리 들어왔다’라며 때려잡거나 내쫓으려 난리난다.   그런데 모기는 파리채로 잡을 수 없었다. 모기가 워낙 빠르고 곡예비행을 해서, 파리채를 휘두르는 순간 잽싸게 피해 버린다. 특히 모기는 잘 안 보이는 곳에 숨기도 하고, 날아가는 모기를 봐도 파리채나 맨손으로 잡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모기는 모기약이나 모기향으로 잡는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모기약이나 모기향의 효과가 확실하지 않은데다, 사람에게 무해할 리 없다. 그 와중에 몇 년 전에 등장한 게 전자모기채다. 모기가 닿으면 ‘찌직’ 소리가 나며 순간적으로 타 죽는데, 그 소리가 그렇게 통쾌할 수가 없다. (필자는 살생을 좋아하진 않지만, 모기만은 예외다)   필자도 얼마 전 모기채를 하나 구했다.어느 날 밤에 자는데 모깃소리가 귓전에 들려 깼다. 누워서 모기채를 잡고 머리 주변에 천천히 휘둘렀다. 순간 ‘찌직’ 하는 소리가 들렸다. 얼마나 짜릿한 지... 조용해 진 속에서 ‘진작에 하나 마련할 걸’하는 생각과 함께, 다시 편하게 잠이 들었다.   게다가 전자모기채는 초파리에도 아주 효과적이라고 한다.이렇게 파리채 대신 모기채가 필수품이 되었다.   사실 모기는 가을모기가 더 무섭다.앞으로 전자모기채의 맹활약이 기대된다.인터넷 쇼핑몰에서 가격이 1만원 전후로 저렴하니, 없는 분들께 강추한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너무 안타까운 마음에...

너무 안타까운 마음에...   지난 7일 광주 시내 한 13층짜리 상가 건물 옥상에서 10대 여성이 1층으로 떨어져 당시 거리를 지나던 A양 모녀와 20대 남성 등 3명의 행인을 덮쳤다. A양은 현장에서 사망했고, 엄마는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다음 날 숨을 거뒀다.   ‘마른 하늘에 날벼락’이란 말이 떠오른다.몇 년 전인가, 고층 아파트에서 한 어린이가 재미삼아 어떤 물체를 아래로 던져 아래를 지나던 행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 그때도 비슷한 얘길 했었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좀 다르다. ‘죽으려면 혼자 죽든가’라는 생각이 든다.   투신한 여성에겐 좀 잔인한 얘기일 수 있다.죽으려는 사람이 남들 걱정까지 할 겨를이 있겠냐만, 그래도 아래를 좀 보고 뛰어내림 안 되겠나 싶다. 정말 아무런 관계 없는, 게다가 11살 짜리 어린이가 본인 때문에 사망했다. 11세 소녀는 엄마와 즐거운 대화를 나누며 행복하게 길을 걷고 있었을 뿐이다.그리고 그 어린이는 테니스 유망주라 대한테니스협회에선 홈페이지에 ‘추모의 글’까지 계시했다. (사진)   앞에 언급한 ‘어린이 투척 사건’ 같은 경우 부모에게 민사 청구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번 투신 사건 경우엔 어떤 보상이라도 받을 수 있을까? 졸지에 사랑하는 아내와 딸을 잃은 아빠의 심정은 어떨까?   너무나 황당한 얘기라 온갖 생각이 다 든다.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람들은 너무나 힘든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다. 그렇다해도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방식은 지양되어야 한다. ㅠㅠ   필자도 지금 무슨 소리를 하는 건지, 이게 맞는 얘긴지 모르겠다.너무 안타까워서 헛소리가 나오나 보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자유문답방
커뮤니티 문답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