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banner1 header banner2
  • 커뮤니티 문답방 · 전문가문답방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기사

전체기사

추천명소 | 물의 독립

25-09-09 10:33

페이지 정보

좋아요 0개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106

본문

물의 독립

 

강릉시가 물이 부족해서 난리다. 소방차와 군함까지 동원해 다른 곳에서 물을 길어와도, 수돗물 공급까지 제한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는 거의 없던 일인 것 같다.

 

필자는 자라고 살아오면서 우리나라 땅에 대해 불만이 많았다. 국토는 좁은데, 석유 같은 지하자원이 없어서다.

하지만 요즘은 그런 불만이 사라졌다.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깨끗하고 풍부한 물, 즉 강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강은 국경선 안에 형성되어 있어 다른 나라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하지만 강을 나눠 사용해야 하는 나라들, 특히 중국과 연결된 나라들은 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강의 상류가 중국에 있는데, 중국이 일방적으로 강 상류에 댐을 마구 건설하기 때문이다.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의 젖줄인 메콩강은 수량이 풍부해서, 농업이 발달하고 물고기도 많이 잡히는 곳이다. 그런데 중국은 일방적으로 메콩강 상류(란창강)1990년대부터 11개의 대형 댐을 건설했고, 추가로 8개 댐을 더 건설할 계획이다. 댐 건설로 인해 메콩강이 말라가면서, 유역인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등이 취수와 농업 어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툭하면 범람하던 강이 사막으로 변할 정도다.

또한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댐 건설을 추진하며, 최근 티베트 고원의 야를룽창포강에 세계 최대인 싼샤댐의 3배에 달하는 연간 3000k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초대형 수력발전 댐을 착공했다. 그런데 야를룽창포강은 티베트를 거쳐 인도와 방글라데시로 흐른다. 당연히 댐 건설로 인해 하류 국가들의 물 부족, 생태계 파괴, 국경 분쟁 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은 물을 무기화하며, 주변국 국민들이 죽거나 망하거나 관심이 없다. 주변국들은 중국과 다투고는 있지만, 중국의 처분만 기다릴 뿐 뾰족한 방법이 없다.

 

이렇게 중국과 붙어 있는 나라들이 대부분 이런 상황이지만, 중국과 붙어 있는 우리나라(한반도)는 정말 다행스럽게 강을 독자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위의 가례를 봐도 물의 독립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다.

 

예전엔 흔한 게 물이라, “물 쓰듯 한다라는 말을 했다. 하지만 깨끗한 물처럼 중요한 게 없다.

우리나라에 석유는 없어도, 깨끗하고 독립된 물이 있는 게 참으로 다행이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추천 0

전체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