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banner1 header banner2
  • 커뮤니티 문답방 · 전문가문답방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기사

전체기사

시민인권기자 | 허문도의 ‘언론 개혁’이 생각나는 이유

23-05-24 09:29

페이지 정보

좋아요 0개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423

본문

허문도의 언론 개혁이 생각나는 이유

 

필자가 어렸을 때 한 어른한테 커서 절대 되어선 안 될 3가지 직업에 대한 얘길 들었었다. 3가지는 바로 정치인(국회의원)과 경찰 그리고 기자다. 이들은 앞에선 국민과 정의를 찾지만 뒤에선 국민을 협박하고 뇌물을 받아먹는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물론 당시 얘기다.

 

그중 기자는 한때 지성과 양심의 표상이었다. 우선 아무나 기자가 될 수 없었고, 상당한 지식 수준이 필요했다. 기자는 독재 정부에 어느 정도 맞추 줄 수 밖에 없는 상황도 있었지만, 독재에 맞서 나름 역할을 하려 노력했다. 그래서 한때 다수의 기자들이 국회의원 등 정치권으로 영입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그런 기자는 중앙지 등 일부 신문이었고, 특히 지방이나 지역에선 소위 사이비 기자들이 넘쳐났다, 그들은 약점을 잡아 기사화하겠다며, 뇌물(촌지)이나 광고를 달라고 협박을 일삼았다. 대부분 그런 기자들은 급여가 아예 없이, 따오는 광고 등의 일부를 가져갔다.

이런 신문이 늘어나면서 국민들의 원성이 높아지자, 일부 신문들을 강제로 폐간을 시킨 파격적인 조치가 단행되었다. 바로 전두환 시절, 허문도가 중심으로 추진한 언론 개혁이었다. 신아일보 같은 반정부적 신문사가 폐간되는 등 엄청난 언론 탄압이었지만, 엉터리 신문 때문에 피해를 봤던 일부 국민들은 환호하기도 했다.

 

지금은 신문사가 정말 많다. 인터넷 신문만 4천개 정도 된다. 유사한 유튜브까지 넘쳐난다.

그만큼 경쟁이 심하다 보니, 다수의 언론사들은 과거의 행태로 돌아갔다.

대부분 지역이나 지방 그리고 인터넷 신문사 기자들은 정식 급여가 아예 없거나 약간의 기본급만 받고, 나머진 인센티브다. 기자가 광고나 협찬을 따오면, 절반을 가지는 구조다. 기자가 영업사원인지 뭔지 구별이 안된다. 그러니 사실에 입각한 제대로 된 기사가 나올 리 만무하다. 관공서나 기업 출입 기자들은 어떻게 해서든 돈을 따내야 하고, 실제 관공서나 기업들은 이들을 위한 예산을 따로 준비해 놓기도 한다.

당연히 지자체나 관공서 또는 기업에 대해 우호적인 기사가 나올 수밖에 없다.

(다만 김영란법 등으로 현금이 오가는 촌지는 많이 줄었다)

이런 신문사들은 그러면서도 스스로를 정론지라고 주장한다. ‘삶은 소대가리가 웃을 일이다.

 

언론은 장사고, 기자가 영업하는 시대다. 언론이나 기자들에 대한 믿음도 없다.

필자도 묻는다일보를 운영하고 있지만, 어떤 때에는 허문도처럼 가혹한 언론 개혁을 했으면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추천 0

전체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