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탁칼럼 | 국물과 육수
23-05-17 09:59페이지 정보
좋아요 0개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701관련링크
본문
국물과 육수
한 20년 전만 해도 ‘육수’보다는 ‘국물’이란 단어를 많이 사용한 것 같다. 고깃국물 멸칫국물 오뎅국물 김칫국물 라면국물 등등...
‘냉면’이란 노래에도 국물이 등장한다.
‘한 촌사람 하루는 성내 와서 구경을 하는데 (중략)
맛 좋은 냉면이 여기 있소
값싸고 달콤한 냉면이오
냉면 국물 더 주시오 아이구나 맛 좋다’
그런데 요즘은 육수(肉水)가 대세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육수’란 ‘고기를 삶아 낸 물’이라고 되어 있다. 육수도 분명 표준어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국물 대신 육수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
부대찌개를 먹다가도 “여기 국물 좀 더 붜 주세요”라고 하면, “예, 육수 더 드릴게요”라고 한다.
국물이 왜 육수로 변했을까?
‘국물’보다 ‘육수’가 더 비싼 느낌이 날까?
‘고깃국물’보다 ‘육수’가 더 짧아서일까?
‘고기’를 삶아 낸 물이라는 걸 강조하기 위함일까?
라면 국물을 육수라고 하진 않는 걸 보면 맞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굳이 ‘멸치 육수’ 또는 ‘소고기 육수’라고 하는 걸 보면 꼭 그런 것 같지도 않다.
더구나 수퍼에서 파는 물냉면 안에 ‘동치미 육수’라고 적혀있는 걸 보면 황당하기 그지없다. 동치기에 들어간 무가 고기인가, 육수라고 하게... 이젠 그냥 습관적으로 국물을 육수라고 표기하는 것 같다.
국물은 순우리말이고 육수는 한자어다.
필자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멸치 육수’나 ‘소고기 육수’는 의미가 중복되므로, ‘멸칫국물’과 ‘소고깃국물’로 표기하는 게 맞을 것 같다. 굳이 우리말을 사용하자는 얘기가 아니더라도, 쉽고 올바른 말을 사용하는 게 맞다고 본다.
‘냉면’ 노래에서 ‘냉면 ’육수‘ 더 주시오’라고 한다면 뭔가 어색하지 않은가?
‘국물’이란 좋은 우리만을 두고, 경우에 따라서는 맞지도 않는 ‘육수’라는 단어는 이제 가급적 지양하면 어떨까 싶다.
오늘 점심엔 뜨끈한 멸칫국물을 사용하는 멸치국수를 먹어야겠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전체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