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좋아요 0개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73관련링크
본문
교도소가 노인 복지시설?
한참 전이라 좀 틀린 점이 있을 수도 있지만, 대충 이런 얘기다.
어떤 노인이 교도소에서 출소했다가 다시 가벼운 범죄를 짓고 교도소로 돌아(?)갔다. 범행의 이유는 막상 출소했지만 먹고 살기 힘들어서 다시 교도소로 가기 위해서라고 한다.
필자는 그 보도를 보고 ‘남들은 교도소에 안 가려고 엄청 애쓰는데, 저 노인한테는 교도소가 그런대로 살만한가 보다’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리 공감하진 않았다.
그런데 요즘 일본에선 이러한 일이 다반사라고 한다.
만기출소하고도 가벼운 범죄로 다시 교도소 돌아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좀 지난 통계지만, 2022년 한 해 신규 수형자 중 65살 이상 비율은 20년 전에 비해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전한다.
그런데 일본 교도소에서는 주 3회 20분씩의 목욕 시간을 보장받고 두 달에 한 번꼴로 이발도 시켜준다. 규칙적인 식사 제공에 아프면 치료도 해 준다. 게다가 여럿이 함께 있어 외롭지 않게 지낸다. 교도소의 철저한 감시가 오히려 노인 범죄자들에겐 사실상 24시간 돌봄 서비스(?)가 되는 것이다.
이쯤 되면 그런 노인들에게는 교도소가 감옥이 아니라 노인 복지시설처럼 여겨진다. 돈 한 푼 안 들이고 관리 받고, 게다가 외롭지도 않으니 말이다.
그런데 통계는 없지만 일본의 이런 추세는 우리나라도 비슷할 것 같다.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돈 없는 노인들은 살기 힘들긴 마찬가지다.
교도소 생활에 익숙한 노인이라면, 쪽방촌 같은 데서 혼자 밥 해 먹고 외롭게 고생하고 사느니, 각종 무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교도소가 더 편할 수도 있겠다 싶다.
안타깝지만, 이렇게 교도소가 그 노인들 입장에선 차선 정도는 될 수 있겠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교도소가 익숙한 사람들 얘기다.
필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나이 많은 사람들은 절대 생각도 못할 일이다.
늘그막에 죄를 지어서 험한 꼴 당하지 않게, 어떻게든 잘 살아야 한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전체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