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좋아요 0개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241관련링크
본문
가요의 시대상 ② – 여권 신장
가요는 그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는데, 예전 노래들 중엔 지금 같으면 여성들이 들고 일어날 노래들이 꽤 있었다.
남진의 <마음이 고와야 여자지>(1967년)도 그중 하나다.
새까만 눈동자의 아가씨 겉으론 거만한 것 같아도
마음이 비단같이 고와서 정말로 나는 반했네
마음이 고와야 여자지 얼굴만 예쁘다고 여자냐
한번만 마음주면 변치않는 여자가 정말 여자지
(이하 생략)
‘얼굴만 예쁘다고 여자냐’ 라는 건 당시에도 외모 지상주의가 있었다는 의미다.
그런데 ‘한번만 마음 주면 변치 않는 여자가 정말 여자지’라고 말한다. 당시만 해도 여성들에세 일방적으로 순결과 정조관념을 강요할 때다.
하지만 지금 여성들 입장에서 보면 말도 안 되는 얘기다. 여자라고 해서 어떻게 한번 마음 줬다고 변치 말아야 하는가?
봉봉 사중창단의 <사랑을 하면은 예뻐져요>(1967년)도 비슷한 경우다
사랑을 하면은 예뻐져요 사랑을 하면은 예뻐져요
아무리 못생긴 아가씨도 사랑을 하면은 예뻐져요
사랑을 하면은 꽃이 피네 사랑을 하면은 꽃이 피네
아무리 호박꽃 아가씨도 사랑을 하면은 꽃이 피네
못 생긴 여자들은 모두 다 사랑하소
사랑을 하면은 모두 다 미인되네
(이하 생략)
지금 여성들 입장에선 전형적인 외모 지상주의라고 평가할 수 있다. 호박꽃 아가씨나 못 생긴 아가씨 모두, 여성들을 외모로 판단한다고 해서 싫어하는 단어들이다.
물론 본래 의미는 사랑을 하다보면 좀더 꾸미게 되고 표정이나 안색도 좋아져 예뻐진다는 의미다. 하지만 시대가 바뀐 요즘 여성들 입장에선 불쾌할 수도 있다.
쉐그린의 <얼간이 짝사랑>(1971년)은 심지어 성추행 성폭행이다.
옛날에 한 옛날에 얼간이가 살았는데
동네 아가씨를 짝사랑 했더레요
어느날 그 아가씨 우물가에 앉았는데
얼간이가 다가와서 손목을 잡았더래요
어머 어머 이러지 마세요
우리 엄마 보시면 큰일이 나요
(어 왜 이러세요 이 손 놓으세요)
(앞 생략)
어느날 그 얼간이 있는 용기 다하여서
그 아가씨 귀를 잡고뽀뽀를 했더래요
(중략)
(어 왜 자꾸만 이러세요 정말 뽀뽀까지 하고 야단이야 엄마)
여름은 지나가고 가을이 다가왔네
곡식이 무르익 듯 사랑도 있었대요
그래서 둘이는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행복하게 살았더래요
‘옛날에 한 옛날에’라고 했지만, 지금 같으면 싸대기를 맞고 경찰에 끌려가 교도소로 들어갈 수도 있는 무시무시한 성추행 내지 성폭행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여자 없다’고 ‘스토킹’을 하거나, 심지어 성폭행을 당하고 강제로 결혼하는 경우도 있었다.
노래가 해피엔딩으로 끝나긴 하지만, 지금 여성들 입장에선 끔찍한 노래일 수도 있다.
위 노래들이 유행하던 게 60~70년대 초였으니 세상이 참 많이 변했다.
<묻는다일보 발행인 배재탁 ybjy0906@naver.com>
전체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